본문 바로가기

Git

(2)
Github Action으로 S3에 배포해보자 이번 시간에는 Github Action으로 S3에 자동 배포했던 여정을 기재해보려고 합니다. Github Action을 왜 도입했어요? 테스트 서버 혹은 운영 서버에 배포하려고 할 때 매번 PC에 접속해서 git pull하는 과정을 반복했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서버를 잠시 멈추거나 개발자의 작은 실수로 인해 서버 상태가 좋지 못한 상태로 변경이 될 수도 있는 등 불안한 요소가 항시 존재하였습니다. 이를 방지하고 배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고자 Github Action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 사실 매번 git pull하기 너무 귀찮았어요... 편리하지만 복잡할 거 같은데요? 처음에는 도입이 꺼려질 수도 있습니다. 저 역시 그랬구요. 그러나 아래 예제 코드를 보면서 하나씩 알아가보면 ..
Git으로 내 코드를 관리해보자 #1 개인 PC에서 코드를 계속 수정하면서 최신 상태를 유지했었습니다. 그러나 어느날 이전 코드가 필요할 때가 있었는데..... 코드가 사라지고 없네요? 당연히 기존 코드를 백업하지않고 수정했으니 없더라구요. 그러다 Git이라는 것을 알아보았는데 언제 어떤 내용으로 수정했는지 다 알 수 있어서 관리하기 정말 편했었는데 그 경험을 공유해보려합니다. Git이 뭐에요? 깃이란 버전관리 시스템 이라 보시면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버전이 3개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버전 1 - 캐릭터 추가 버전 2 - 캐릭터 의상 추가 및 버전 1 버그 수정 버전 3 - 캐릭터 이동수단(애완동물) 추가 및 버그 1,2 버그 수정 만일 기록을 하지않고 기존 코드에 계속 덮어씌우거나 프로젝트를 버전별로 복사하여 관리한다면 아래..